세번째 포스트는 보상함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보상함수는 강화학습의 위한 전제가되는 함수입니다.

보상 함수는 에이전트가 취한 행동의 '좋고 나쁨'을 평가하여 학습을 유도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농업 생산성 극대화라는 목표에 부합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최종 생산량 (Yield) 기반 보상: 작물의 최종 수확량에 비례하여 높은 보상을 부여합니다.
  • 생장률 기반 보상: 일별 또는 주간 생장률 (예: 바이오매스 증가량, 잎 면적 증가량)에 비례하여 보상을 부여하여 꾸준한 성장을 유도합니다.
  • 자원 효율성 고려 보상: 물, 비료, 에너지 등 투입 자원 사용량에 대한 페널티를 부과하여 자원 효율적인 관리를 장려합니다.
  • 품질 지표 고려 보상: 당도, 경도, 색깔 등 작물 품질 관련 지표를 보상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
  • 패널티 부과: 병해충 발생, 특정 스트레스 (가뭄, 과습) 발생 시 큰 음의 보상 (페널티)을 부여하여 에이전트가 이러한 상황을 피하도록 학습시킵니다.
  • 예시:
    • 여기서 는 각 요소의 중요도를 조절하는 가중치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AVIYO REPUBLIC Co., Ltd.

(주)아비요리퍼블릭의 홈페이지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2번째인 에이전트 설계에 관한 내용입니다.

에이전트는 정의된 환경 상태를 기반으로 최적의 농업 관리 행동을 결정하는 주체입니다.

  • 알고리즘 선택: 농업 환경의 복잡성과 연속적인 상태/행동 공간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들이 적합합니다.
    • DQN (Deep Q-Network) 또는 DDQN (Double DQN): 이산적인 행동 공간에 적합하지만, 연속적인 행동을 양자화하여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 DDPG (Deep Deterministic Policy Gradient) 또는 TD3 (Twin Delayed DDPG): 연속적인 상태 및 행동 공간에 적합하며,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농업 환경에 유리합니다.
    • PPO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또는 SAC (Soft Actor-Critic): 정책 기반 알고리즘으로 안정적인 학습과 탐험 능력이 우수하여 복잡한 환경에 효과적입니다.
  • 행동 (Action) 정의: 에이전트가 환경에 대해 취할 수 있는 행동들을 정의합니다. 이는 농업 생산성 증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리 활동이어야 합니다.
    • 관수량 조절: 하루 또는 특정 시간 동안 공급할 물의 양 (연속적).
    • 비료 종류 및 투입량: NPK (질소, 인산, 칼륨) 비율 및 투입량 (연속적 또는 이산적).
    • 온실 환경 제어: 온도, 습도, CO2 농도 조절 (연속적).
    • 광주기 제어: 보광등 사용 여부 및 시간 (이산적 또는 연속적).
    • 병해충 방제 시점 및 방법: 예방적 살포 또는 특정 시점의 방제 (이산적).

 

블로그 이미지

AVIYO REPUBLIC Co., Ltd.

(주)아비요리퍼블릭의 홈페이지입니다.

식물 생장 및 기후 데이터를 활용하여 농업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강화 학습 방안은 크게 환경 모델링, 강화 학습 에이전트 설계, 보상 함수 정의,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의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됩니다. 각 요소를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트에는 첫번째인 환경모델링입니다.


식물 생장 및 기후 데이터를 활용한 강화 학습 기반 고생산성 달성 방안

식물 생장 및 기후 데이터를 활용하여 농업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강화 학습 방안은 크게 환경 모델링, 강화 학습 에이전트 설계, 보상 함수 정의,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의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됩니다. 각 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환경 모델링 (Environment Modeling)

강화 학습에서 에이전트가 상호작용할 '환경'을 정확하게 모델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물 생장 및 기후 데이터의 경우, 이 환경은 농업 시스템의 동적인 특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 상태 (State) 정의: 현재 농업 환경의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들을 정의합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식물 생장 지표: 잎 면적 지수 (LAI), 식물 높이, 바이오매스, 엽록소 함량, 개화 시기, 열매 크기 및 개수 등 (센서 데이터, 이미지 분석 통해 획득).
    • 기후 조건: 온도 (평균, 최고, 최저), 습도, 일사량, 강수량, 풍속, CO2 농도 등 (기상 관측소, 농장 내 센서).
    • 토양 조건: 토양 수분 함량, pH, 영양분 함량 (질소, 인, 칼륨 등), 토양 온도 (토양 센서).
    • 농업 관리 활동: 현재까지의 물 공급량, 비료 종류 및 투입량, 병해충 발생 여부, 제초 여부 등.
  • 전이 함수 (Transition Function) 또는 시뮬레이터 개발: 특정 상태에서 특정 행동을 취했을 때 다음 상태로 어떻게 변화할지를 예측하는 모델입니다. 이는 물리 기반 모델 (예: 작물 생장 모델) 또는 데이터 기반 모델 (예: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 장점: 실제 농장에 대한 실험 없이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강화 학습 에이전트를 효율적으로 훈련할 수 있습니다.
    • 예시: "현재 토양 수분이 부족하고 일사량이 높을 때, 10mm의 물을 공급하면 24시간 후 토양 수분이 얼마가 되고 식물 증산량이 어떻게 변할 것이다"와 같은 예측이 가능해야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AVIYO REPUBLIC Co., Ltd.

(주)아비요리퍼블릭의 홈페이지입니다.

AI 데이터

소식 2025. 6. 26. 18:36

아비요리퍼블릭의 AI 솔루션은 농업의 모든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합니다. 생산성 증대와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실현합니다.



아비요리퍼블릭의 AI는 단순 분석을 넘어 농업 생태계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입니다.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여 농업 생산성의 새로운 지평을 엽니다.




#### 성공 사례 - 스마트 벌통: 꿀벌 건강 모니터링으로 생산성 22% 향상 - 쌀 재배 농가: AI 관개 시스템으로 물 사용량 35% 절감 - 딸기 하우스: 미세 기후 제어로 품질 등급 상향 #### 주요 파트너십 - 농업 과학원: 스마트 벌통 공동 연구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스마트팜 확산 사업 참여 - 지역 농협: 5개 지역 시범 사업 진행 중 실제 농가의 데이터로 증명된 가치, 아비요리퍼블릭의 기술력은 숫자로 말합니다.

농가의 관점에서 설계된 인터페이스로 복잡한 기술도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로봇을 이용한 농가 일손감소 해결


데이터 수집 (센서, 드론) → 클라우드 저장 및 빅데이터 분석 (AI, 기계학습) → 예측 및 처방 (모바일 앱) → 정밀 농작업 (로봇, 자율주행)으로 이어지는 과정

블로그 이미지

AVIYO REPUBLIC Co., Ltd.

(주)아비요리퍼블릭의 홈페이지입니다.